게임 존

클레드 스킬 분석과 활용 MCW 후기

MCW 후기에 따르면, 지난번 출시된 신챔피언 탈리야가 아직 익숙해지기도 전에, 리그 오브 레전드(LOL)는 또 다른 신규 챔피언 ‘클레드’를 공개했다. 외형만 보면 귀엽고 깜찍한 요들족 챔피언처럼 보이지만, 그 내면에는 상단 라인에서 활용도가 높은 전투형 캐릭터가 숨어 있다. 기대는 줄이고, 의존도는 낮추면 삶이 편해지듯, 클레드는 국서(중국 서버)에서는 인기 있었지만, 일반 랭크 게임에서는 자주 등장하지 않는다.

MCW 후기 고수 플레이어들은 오히려 이것이 반가운 현상이라고 본다. 인기가 높아지면 너프를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클레드의 패시브는 나르를 연상케 하지만, 완전히 다르다. 나르는 변신 후 스탯이 크게 강화되는 반면, 클레드는 탈것인 도마뱀 ‘스칼’을 잃는 순간 기동성(E스킬)을 잃고 위험에 노출된다. 다만 인간형 클레드는 Q스킬로 거리를 벌릴 수 있어, 어느 정도 생존은 가능하다.

스칼을 탑승한 상태에서는 Q스킬이 짧은 쿨타임과 라인 클리어, 견제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여기에 E스킬을 조합하면 적에게 돌진해 Q의 명중률을 높일 수 있어, 스킬 우선 순위는 Q- E – W 순이 권장된다. 스칼이 없을 때의 Q는 넉백 기능이 있지만 데미지는 매우 낮아 주로 도주용으로 활용된다. 이 스킬로 적을 처치하려는 시도는 무모하며, 목숨을 보존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스킬은 초반 체력 교환에서 매우 강력하다. 특히 Q로 적을 끌고 오고, 이어서 E로 접근하여 W까지 발동시키면 라인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마음이 무너지면 인생도 무너진다는 말처럼, W스킬의 활용은 클레드의 분노 게이지 회복에 핵심적이다. 이 스킬은 쿨타임이 존재하므로 교전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하며, 허투루 쓰면 이후 한동안 반격이 불가능하다.

E스킬은 클레드의 기동성을 책임지는 기술이다. 다만 랭가나 렝가 같은 챔피언처럼 지형을 넘을 수 없으며, 첫 번째 E는 벽을 통과하지 못한다. 하지만 적 챔피언에게 명중 시 두 번째 E가 발동되어 계속해서 압박할 수 있다. 상대가 이동기를 써도 일정 거리 내라면 추격이 가능하다.

궁극기(R)는 꽤 독특한 스킬 구조를 가지고 있다. 거리와 상관없이 방어막과 피해량이 최대치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발동 위치보다 ‘타이밍’과 ‘조합의 속도’가 중요하다. 이 스킬은 아군 전체에게 이동속도 버프와 보호막을 제공하며, 팀 파이트를 시작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일종의 팀 전체 버프이자 이니시에이팅 수단인 셈이다.

MCW 후기 유저들 사이에서는 ‘도란의 검’이 클레드의 초반 라인전 우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추천되고 있다. 반면 ‘부패 물약’은 지속적인 견제를 주 무기로 삼는 상대한테 적합하다. 부패 효과와 함께 클레드의 초반 교전 능력을 상승시키며 라인전에서 우세를 점할 수 있다.

결국, 클레드는 단순한 ‘귀여운’ 요들 챔피언이 아니라, 스킬 활용도와 교전 판단력이 중요한 고난이도 상단 챔피언으로, MCW 후기 커뮤니티에서도 실전에 앞서 충분한 연습과 메커니즘 이해가 필요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