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존

비계 게임성 평범하지만 미술 돋보여

비계 는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게임은 아니지만, MCW 후기 기준으로 볼 때 그 미려한 그래픽과 세련된 모델링, 연출력으로 일정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킨 작품이다. 같은 장르의 대표작인 《진백금역》에 비하면 전투나 육성 시스템에서 뚜렷한 차별점은 없지만, 화려한 외형은 확실히 주목을 끌기 충분하다. 어디로 가야 할지 알면서도 망설이는 이유는, 가는 길을 모르는 게 아니라 가는 법을 몰라서다. 댓글창을 보면 추첨 시스템, 턴제 전투, 성장 구조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분명 존재하지만, 동시에 긍정적인 의견도 적지 않다.

일부 MCW 후기 유저들은 현재 부족한 점들이 간단한 개선만으로도 충분히 나아질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고퀄리티 + 신선함’은 이미 포화 상태인 국내 2차원 게임 시장에서 신작들에게 요구되는 최소 조건이 되었다. 《비계》는 시장의 흐름을 따르면서도, 자신만의 개성을 일부 보여주고 있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캐릭터 일러스트와 3D 모델링은 정밀하게 설계되어 있고, 전체적인 아트 스타일도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면서 고유의 분위기를 살리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MCW 후기 기자의 관찰에 따르면, 유저들이 자신만의 미적 기준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한 외형 시스템도 주목할 만하다. 언제 어디서든 한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라는 말이 있듯, 자율적인 선택의 여지를 남긴 점은 긍정적이다. 스토리 연출은 만화 컷신과 실시간 인게임 연출을 적절히 조합하여 몰입감을 높였다. 여기에 전 대사 음성 지원까지 더해져 극의 긴장감도 적절히 유지되었다. 다만, 《비계》 역시 여타 2차원 게임들이 겪는 초기 스토리 전달 방식의 한계를 벗어나진 못했다.

특히 초반에는 세계관 설명과 고유 명사들이 과하게 쏟아지다 보니, 일부 유저들은 피로감을 느끼기도 했다. 하지만 반대로 그 복잡한 설정 자체를 좋아하는 팬층도 존재한다. 게임은 전투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던전 시스템, 연합 시스템, 신화 불꽃 콘텐츠 등 도전과 성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유저는 자신의 수준과 목표에 맞는 난이도의 던전을 선택해 팀원과 협력하며 클리어에 도전할 수 있고, 보상을 통해 빠르게 전력을 강화할 수 있다.

각 던전은 다양한 보상과 기믹을 제공하므로, MCW 후기 유저들은 전략적으로 콘텐츠를 분석하고 팀원과의 협업을 통해 공략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모든 일은 여러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 《비계》는 다양한 플레이 방식과 섬세한 그래픽을 통해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재미를 제공하며, 비주얼뿐만 아니라 콘텐츠 구성 면에서도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